harmony.co.kr 음운의 변동 > harmony6 | harmony.co.kr report

음운의 변동 > harmony6

본문 바로가기

harmony6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음운의 변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8 20:15

본문




Download : 음운의 변동.hwp




【음운의변동】1

음운의%20변동_hwp_01.gif 음운의%20변동_hwp_02.gif 음운의%20변동_hwp_03.gif 음운의%20변동_hwp_04.gif 음운의%20변동_hwp_05.gif 음운의%20변동_hwp_06.gif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⑶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 경우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음운의변동】1 , 음운의 변동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음운의 변동.hwp( 86 )


다.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고랫재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댓가지
뒷갈망 맷돌 머릿기름 모깃불 못자리 바닷가
뱃기 볏가리 부싯돌 선짓국 쇳조각 아랫집
우렁잇속 잇자국 잿더미 조갯살 찻집 쳇바퀴
킷값 핏대 햇볕 혓바늘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깻묵 냇물 빗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소리가 덧나는 것
도리깻열 뒷윷 두렛일 뒷일 뒷입맛
베갯잇 욧잇 깻잎 나뭇잎 댓잎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귓병 머릿방 뱃병 봇둑 사잣밥
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셋집 찻잔
찻종 촛국 콧병 탯줄 텃세
핏기 햇수 횟가루 횟배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3) 윗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⑷ 사잇소리의 기본 3구조
┌① 앞의 말이 울림소리이고 뒤의 말이 안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말이 된소리 되는 경 │ 향이 있다
│ ex) 봄+비→[봄삐]
├② 앞의 말이 모음으로 끝나 있고, 뒤의 말이 ‘ㅁ, ㄴ’으로 스타트되면 ‘ㄴ’소리가 덧나는 │ 일이 있다
│ ex) 이+몸(잇몸)→[인몸]
└ ③ 뒤의 말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로 스타트될 때에는 ‘ㄴ’이 하나 혹은 둘이 겹 쳐 나는 일이 있다 …(drop)
음운의 변동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인문사회,레포트






음운의 변동



음운의 변동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Total 7,723건 501 페이지

검색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harmony.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harmony.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