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02:43
본문
Download : 한국의 사우.hwp
혈연과 지연 등을 중심으로 한 무원칙한 인물의 선정은 향사자의 자격과 질의 저하를 공히 초래하였던 것이다. 사당은 가묘(家廟)라고도 하며, 왕실의 것은 종묘(宗廟)라 한다.
3)사우의 건립주체
사우의 건립 주체는 대체로 제향자와 혈연·지연·학연 등으로 밀접한 관련을 지닌 자들이다. 당시 경상좌도암행어사의 복명(復命) 중에도 서원과 사우가 섞여 있어 동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조정에서조차 구별을 두지 않고 편액(扁額)을 하사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렇게 양자간에 구별이 점차 없어진 이유의 하나는 시기가 경과할수록 서원과 사우에 제향하는 인물에 구별이 없어졌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유는 17, 18세기에 있어서 서원의 기능 변화가 지적된다 인재양성과 강학기능이 일차적이었던 서원이 사현(祀賢) 위주로 전환되었다는 점이다.
한편, 사우와 거의 같은 정의(定義) 으로 사당(祠堂)이 혼용되고 있는데, 실제약간의 차이가 있다 사당은 사우와 유사하나 주로 사대부가를 비롯한 일반 민가에서 조상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지내는 집을 말한다. 이에 따라서 종래·사우로 불러야 마땅 할 것도 서원이라 칭해지며 양자의 혼효현상이 두드러지게 되었다. 사우는 학문이나 덕행 무공(武功)이 뛰어난 인물을 제향하는 곳으로, 배향인물의 연고지와 백성들에 의하여 세워졌다.. 레포트(report) 에 많은 참고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한국의 사우에 관하여 여러자료를 참고로 정리해봤습니다.. 레포트에 많은 참고 되었으면 좋겠습니다한국의사우祠宇 , 한국의 사우기타레포트 ,
한국의사우祠宇
순서
,기타,레포트
Download : 한국의 사우.hwp( 91 )
설명
한국의 사우




그러나 서원이 남설되던 17, l8세기에 들어서는 이같은 양자의 차이점도 모호하게 되었다. 또한 이들은 대부분 향촌 사회에 강력한 기반을 가진 사족집단이었다.
레포트/기타
한국의 사우에 관하여 여러자료(資料)를 참고로 정리(整理) 해봤습니다. 사우의 건립은 대체로 후손에 의한 경우, 문인에 의한 경우, 향인에 의한 경우로 나눌 수 있으며, 각기 나름대로의 특색을 지니고 있다 후손에 의하여 설립되는 경우는, 그 동기가 추로 선조숭배(先組崇拜)와 보족(保族)의 관념에서 비롯된다 예로 청주의 노씨(盧氏) 일문을 모시는 예화당사우(隷華堂祠字)나 성주의 경산이씨(京山…(생략(省略))
다. 경종 년간의 이명언(李明彦)의 계사에 이미 서원과 사우간에는 아무런 차등이 없음을 경계한 내용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