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mony.co.kr 제자백가 10가의 사상 > harmony1 | harmony.co.kr report

제자백가 10가의 사상 > harmony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harmony1

제자백가 10가의 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01:26

본문




Download : 제자백가 10가의 사상.hwp




제자백가%2010가의%20사상_hwp_01.gif 제자백가%2010가의%20사상_hwp_02.gif 제자백가%2010가의%20사상_hwp_03.gif 제자백가%2010가의%20사상_hwp_04.gif 제자백가%2010가의%20사상_hwp_05.gif 제자백가%2010가의%20사상_hwp_06.gif



유가, 도가, 묵가, 명가, 법가, 음양가, 종횡가, 농가, 잡가, 소설가, 병가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라는 말씀
인의 실천 덕목(인간다움의 바탕)
: 군자는 무본이니 본립이 도생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학이편)
-`부모님을 섬기는 효와 형제간의 우애는 곧 인(인)의 근본이 되느리라.` : 또한 사람됨의 근본
남을 사랑하는 것 : 번지문인 자왈 애인, 문지 자왈 지인 (안연편)
- `번지가 인(인)을 물으니, 공자 말씀하시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오.` 또, 지(지)를 물으니, 공자 말씀하시길, `사람을 바로 아는 것이라.`고 하셨다.
목적적, 조건적 사랑(맹목적 무조건적 사랑이 아님) : 유인자 능호인 능오인 (이인편)
- `오직 어진 자만이 능히 사람을 좋아할 수 있고, 사람을 미워할 수 있다 `
충(충) - 모든 인간관계에서 성실과 신뢰를 위주로 사는 것 : `주충신하고, 극기복례하라.`
- 충실과 믿음을 주로하고,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라.`
서(서) -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강요하지 않는 것.…(省略)

Download : 제자백가 10가의 사상.hwp( 26 )



다.
레포트/인문사회
제2장 유 가
제1절 명칭
「유」는 재예와 학문을 갖추고 있는 이상적인 학자요 교육자이며, 또한 천지에 통달하고 고금을 구별하며 덕행을 갖추어서 백성을 교도하는 것을 주장하는 학설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순자》유효편이자 《묵자》비유편의 유는 바로 공문을 가리키는 말이며, china철학과 통치이념에 가장 influence이 컸던 학설이다. 특히 경학의 십삼경전은 모두 이 유가와 직접 관련이 있고 또한 그것으로 기원가 오래임을 알 수 있다
제2절 인물 및 학설
(1) 공자(이름은 구, B.C.551-479)
춘추 시대의 사회, 정치적 혼란과 규범을 상실하던 때에 공자는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조문도 석사가의]`는 구도의 신념을 가지고, 도덕성 회복을 위해 효제의 교육과 인을 강조하였으며, 건전한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예를 강조하였다.
①인의 사상 - 사랑의 정신과 인간다움
인간다움을 의미 : 인자인야 (인은 인간의 본성)
-`어진 사랑은 곧 사람이니라.`: 사랑할 줄 모르면 사람이 아닐것이다.제자백가10가의사상 , 제자백가 10가의 사상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순서





제자백가10가의사상



,인문사회,레포트




제자백가 10가의 사상

유가, 도가, 묵가, 명가, 법가, 음양가, 종횡가, 농가, 잡가, 소설가, 병가에 상대하여 설명(explanation)했습니다.
전체 7,62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harmony.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