實驗보고서 - 폐수처리공학 [SVI,DO UP TAKE 등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8:21
본문
Download : 실험보고서 - 폐수처리공학 [SVI,.hwp
3번의 반복 실험 시 실리카겔의 무게와 직경은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순서
설명
= 34.4L
실리카겔의 직경 = 2.9mm
이 實驗은 Impuls를 주입하여 반응조 내의 농도를 증가시킨 후 일정 유량을 계속 주입하여 반응조 내의 농도가 0이 될 때까지 물로 씻겨 보내는 實驗이다.
다. 실험 결과중 물의 농도가 0이 나오진 않았다.
결과 값이 원했던 수치가 나오지 않아서 아쉽긴 했지만 직접 실험 해보고 측정(測定) 원리를 알게 되어 값진 실험이 되었다. 실험의 원리는 물이 담긴 용기에 소금을 넣고 일정 유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투입하여 소금물을 씻겨 내며 시간에 따른 농도변화를 보는 실험이다. 용기 바닥에서는 마그네틱 바가 회전하며 용기 내의 물을 혼합시켜 주었다. 이를 통해 완전혼합흐름인지 플러그흐름 상태인지를 구별 할 수 있다아
µ : 0.01005 (g/cm*sec)
이 실험은 Impuls를 주입하여 반응조 내의 농도를 증가시킨 후 일정 유량을 계속 주입하여 반응조 내의 농도가 0이 될 때까지 물로 씻겨 보내는 실험이다.
Download : 실험보고서 - 폐수처리공학 [SVI,.hwp( 35 )





1L 메스실린더의 표선까지의 높이
實驗보고서 - 폐수처리공학 [SVI,DO UP TAKE 등등]
g : 980 (cm/sec2)
1.6L의 수조에 물을 담고 10g의 소금을 투입했다. 여과된 여과지를 Water bash에 약 1시간동안 건조시켜 여과시키기 전후의 여과지 무게차를 구하면 5ml에 존재하는 슬러지의 무게를 구할 수 있게 된다된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두 번째 실험은 슬러지 침전성 실험이다. 전 실험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실험이였다. 그 이유는 10g의 다량의 소금을 투입하였고 조교께서 실험 여건상 3분 동안의 농도 변화를 체크 하라고 하셔서 농도가 0이 되기까지는 불충분한 시간이라고 생각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완전혼합흐름인지 플러그흐름 상태인지 알아 볼 수 있다.
폐수처리공학,SVI,DO UP TAKE
실리카겔의 질량 = 0.16g
이론적 수치
ρ : 0.998 (g/cm3)
실험 과정에서는 특이 사항은 없었고 SVI(1g당 미생물이 차지하는 부피)를 직접 구해볼 수 있어서 재미있는 실험이였다
첫 번째 실험은 Washout Rate이다. 이 과정을 통해 완전혼합흐름인지 플러그흐름 상태인지 알아 볼 수 있다
처음에 5ml 피펫으로 폐수를 뽑아서 에어펌프와 연결된 용기에 부착된 여과지에 골고루 뿌려서 슬러지를 여과한다. 투입 후 조원들은 역할을 분담하여 각자 10초간 농도변화를 체크하고, 100ml 메스실린더에 물이 가득차는 시간을 체크하여 유량을 구하고, 용기의 부피를 계산 하였다. 실험의 원리는 폐수가 담긴 1L 실린더를 30분간 방치하여 슬러지가 침전하는 양을 측정(測定) 하는 실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