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인지심리학 Metamemory(상위개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2:38
본문
Download : 인지심리 조별과제.hwp
이와 같은 `기억에 대한 기억`을 상위기억(metamemory) 이라고 한다. 그리고 창고에 물건을 넣는 방법에 관한 지식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번에 진행되는 實驗의 경우, 거의 동일한 정보를 사진으로(visual) 주어지는 경우와 글로 (verbal) 주어진 경우의 비교를 통해서, metam...
인문사회 인지심리 조별과제 인지심리학 Ⅰ. Metamemory상위개념 1. 이론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Download : 인지심리 조별과제.hwp( 78 )
인지심리학 Ⅰ. Metamemory(상위개념) 1. 이론적 배경 및 실험...





[인문사회] 인지심리학 Metamemory(상위개념)
인지심리학 Ⅰ. Metamemory(상위개념) 1. 이론(理論)적 배경 및 實驗(실험)...
다. 기억도 이 경우와 같아서 기억해야 할 것을 기억하는 방법이 있고(기 억전략), 저장되는 기억의 용량도 있다. 즉, 자신의 기억 능력 및 용량에 관한 지식, 기억의 과정과 기억 전략에 관한 지식, 어떤 정보를 저장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에 대한 지식, 기억에 influence(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과 이들 요인의 상호 작용에 대한 지식, 기억을 잘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기억 과정을 감시·조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식. 어떤 정보는 어떤 정보보다 기억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안다든지, 이 정보에는 이러한 기억 책략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아서 그 책략을 사용하여 기억을 돕는다든지, 잘 잊기 때문에 메모를 해두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메모를 해둔다든지 하는 것이 메타 기억의 예이다. 또, 기억에 관한 지식(상위 기억)도 기억능력과 관련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자신이 무엇을 기억하고 있는가(기억 내용)나 그것을 어떻게 해서 기억할 수도 있었는가(기억방략)를 기억하고 있어서 다음에 그러한 지식을 활용할 수도 있다. Matamemory에 관한 實驗은 바로 이 기억에 관한 지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인데, 이 에 관해서 간단히 살펴보자. 우리는 어떤 사물이나 사건 및 경험들은 기억할 수 있다. 인지심리학 Ⅰ. Metamemory(상위槪念) 1. 理論(이론)적 배경 및 實驗목적 ☞ 창고에 넣는 방법이 있고, 창고의 크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