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경초집언해를 통해본 당시 언어사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8 09:53
본문
Download : 마경초집언해를 통해본 당시 언어사실.hwp
순서
Download : 마경초집언해를 통해본 당시 언어사실.hwp( 80 )






이는 근대 국어 시기의 언어 체계 전반에 대한 기술과 說明(설명) 을 위한 예비 작업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경초집언해를 통해본 당시 언어사실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본고는 근대 국어 시기에 간행된 마경초집언해(馬經抄集諺解)를 대상으로 문헌의 성격을 파악하고 당시의 언어 사실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 마경초집언해를 통해본 당시 언어사실인문사회레포트 ,
Ⅰ.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대상
3. 연구 방법
Ⅱ. 서지적 고찰
Ⅲ. 표 기 법
1. 어두 된소리의 표기
2. 종성 ‘ㅅ’과 ‘ㄷ’의 혼란
3. 유기음 표기
4. 모음간 ‘ᄙ’과 ‘ᄘ’의 표기
5. 중 철
6. 분 철
Ⅳ. 음 운
1. ‘ㆍ’의 change(변화)
2. 원순모음화
3. 구 개 음 화
4. 경음화 및 유기음화
Ⅴ. 어 휘
Ⅵ. 문 법
Ⅶ. 결 론
⑷ 마경초집(馬經抄集)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2권 1책의 필사본으로 표지명이 상마경(上馬經)으로 되어 있다아
목록명은 상권의 경우에는 상마경목록상(上馬經目錄上)으로 되어 있으나, 하권은 마경목록하(馬經目錄下)로 되어 있다아
내용은 목판본(木版本) 마경초집언해(馬經抄集諺解)의 언해 부분을 뺀 것과 동일하나 상마서(上馬書), 상우경(上牛經)의 부록이 더 수록되어 있다아
3. 연구 방법
마경초집언해(馬經抄集諺解)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는 매우 부진한 편으로 수의학 관련 몇몇 논저와 영인본의 해제에 언급이 되어 있기는 하나 너무나 간략하고, 그 외에 각 기관의 장서 목록에서 서지 사항이나 판본에 대한 기초 reference(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이는 근대 국어 시기의 언어 체계 전반에 대한 기술과 설명을 위한 예비 작업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국어학적인 관점에서의 연구는 김순자(1984) 한 편이 있다아
이는 기존에 다루어지지 않은 문헌을 선택하여 문헌의 property(특성)을 규명한다는 취지에서 우선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아
주로 음운과 형태를 중심으로 각 유형별 예문을 제시, 분류·정리(整理) 하고 있는데 서지적 analysis이 전혀 없이 수록된 책의 내용만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다음과 같은 …(투비컨티뉴드 )
다.
본고는 근대 국어 시기에 간행된 마경초집언해(馬經抄集諺解)를 대상으로 문헌의 성격을 파악하고 당시의 언어 사실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