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instance)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0 19:13
본문
Download : 사례관리.hwp
Moore(1992)는 事例관리가 가능케 하는(enabling) 차원과 촉진케 하는(facilitating)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실천관념으로 定義(정이)하고 있다 가능케 하는 역할이란 개인이나 일차적 집단(가족)이 독립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그들의 잠재력을 최대화하는 것이며, 촉진케 하는 역할은 도움이 필요한 클라이언트와 사회적 제도·조…(省略)
Download : 사례관리.hwp( 73 )
,인문사회,레포트
다.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레포트(report)
^^레포트 , 사례관리인문사회레포트 ,
사례(instance)관리
설명






Ⅰ.事例관리의 관념
1) 事例관리의 관념
2) 事例관리의 목적
Ⅱ. 事例관리의 구성요소와 기능
1) 事例관리의 구성요소
2) 事例관리의 과정
Ⅲ. 재가노인복지에서 事例관리의 必要性
Ⅳ. 事例관리자의 역할
Ⅰ.事例관리의 관념 및 목적
1) 事例관리의 관념
事例관리는 현재 사회사업실천의 주류(mainstream)로서 전문적 실천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케이스관리(case management), 보호조정(care coordination), 서비스조정(service coordination), 서비스관리(service management), 서비스 모니터링(service monitoring)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언급되고 있어 定義(정이)가 명료하게 관념화되지 못하였다(장인협, 1995). Johnson & Rubin(1983)은 “事例관리 접근방법의 기본원리를 事例관리자가 클라이언트를 복잡한 서비스 전달체계와 연계시켜 적절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책임을 지는 것”이라고 定義(정이)를 내리고 있다 O`Conor(1988)는 事例관리의 定義(정이)와 규정에 혼란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전부터 구분되지 않고 사용되어왔던 事例관리 실천(case management practice)과 事例관리 체계(case management system)를 명료하게 구분 지었다. Rothman(1991)은 事例관리를 노인이나 아동, 장애자들을 포함한 다양한 클라이언트에게 효능적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하나의 전략(戰略) 이며 방법이라고 定義(정이)하였다. O`Conor는 事例관리의 定義(정이)를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제공을 위하여 지역자원을 효능적으로 조직하고 조정하는 행정적·관리적 characteristic(특성)과 개별사회사업에서 진보된 실천방법으로 전문적 관계 속에서 지속적 보호와 상담 및 치료를 제공하는 직접적 개입의 characteristic(특성)을 지닌 것으로 보는 것을 바람직하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