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시집을 읽고쓰기 - 장용학의 소설 요한시집 감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18:00
본문
Download : 요한시집을읽고.hwp
, 요한시집을 읽고 - 장용학의 소설 요한시집 감상감상서평레포트 , 요한시집 읽고
순서
다. 그러나 이데올로기의 기만성을 플라톤주의적 이원성의 초역싸적 진리로 규정한 후, 그러한 보편적 인식으로써 한국적 특수성을 재구성하고 있는 결함을 보여준다. 또한 역싸적 허무주…(skip)
레포트/감상서평
요한시집을 읽고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1인칭 독백의 형태로 극한 상황 속에서의 실존적 자각을 드러낸 이 소설은 그 당시 새로운 문학적 시도라고 평가 받을 만 하다.
이 소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소설속 여러 단어와 요소들이 상징하고 있는 바를 이해하여야 하는데 우선 `요한시집`이란 title은 요한 계시록의 패러디라고 할 수 있다
(요한-누혜, 바몬 섬-포로 수용소인 거제도, 계시록-시집, 요한이 신을 기다림-누혜는 참다운 인간 조건을 기다림)
그리고 소설속에 삽입되어 있는 토끼의 우화(寓話)는 토끼와 인간의 삶은 구조적으로 동일한 방식이란 점을 제시하며, 특히 자유의 소중한 가치와 그 획득의 힘겨움을 암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우화 속 토끼의 실명으로 토끼가 바깥 세상의 빛에 의해 눈이 멀고 죽음에 이르는 것은, 누혜가 전쟁 현실에 절망을 느끼고 진정한 자유를 찾아 수용소 바깥의 세상을 추구하지만 자유도 또 다른 구속임을 깨닫고 죽음, 곧 자살을 택하는 것과 동질적 의미를 지닌다
다시 소설 속에 등장하는 공간적 배경으로써의 섬, 빈민굴, 해안선, 철조망 등은 한계상황을 설정하는 재료라고 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누혜라는 이름은 누에와 같은 존재, 노예와 같은 처지. 누에와 노예를 거부했으면서도 그 거부에 의해 다시 누에와 노예가 되는 인간 실존의 문제를 소리의 유사성을 통해 교묘히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소설은 토끼의 우화, 동호의 눈을 통해 본 누혜의 비극적 삶 및 누혜의 유서, 동호의 세계 인식이라는 세 부분을 통하여 1950년대의 본질적 모순 중의 하나인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탐구하고 그것의 기만성을 폭로한다.
Download : 요한시집을읽고.hwp( 43 )


설명
요한시집,읽고,감상서평,레포트
요한시집을 읽고쓰기
요한시집을 읽고쓰기 - 장용학의 소설 요한시집 감상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장용학의 소설 요한시집 감상
장용학의 단편소설 요한시집은 우화(寓話)를 도입한 experiment(실험)적 소설로 처음 읽어서는 그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울 정도로 좀 난해하다는 느낌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