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흐찐의 대화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13:57
본문
Download : 바흐찐의 대화주의_2071570.hwp
이에 반해 2차 장르는 소서, 희곡, 시와 같은 복잡한 장르로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보다 넓은 의미의 ‘큰 대화’, 즉 동일한 한 사람에게서 시간적 추이에 따라 이루어지는 대화라 하였고, 이것을 로트만은 ‘시간적 의사소통 행…(생략(省略))
바흐찐의대화주의
설명
바흐찐의 대화주의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바흐찐의 이론인 대화주의에 대하여 설명한 자료 바흐찐의대화주의 , 바흐찐의 대화주의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Download : 바흐찐의 대화주의_2071570.hwp( 48 )
다. 대화에 대한 定義(정의) 은 장르를 구분하는 방식과 함께 나타나는데, 바흐찐은 장르를 1차 장르와 2차 장르로 나누었다. 1차 장르는 의문, 감탄, 명령, 부탁 등의 의사교환이라는 일반적 의미로서의 ‘작은 대화’, 즉 서로 다른 두 사람 사이에서 주어진 공간 안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라 하였고, 이것을 로트만은 ‘공간적 의사소통 행위’라고도 하였다.미하일 미하일로비치 바흐찐의 理論인 대화주의에 대하여 설명한
대화주의란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바흐찐(Mikhail Mikhaiovich Bakhtin, 1895-1975)의 theory 을 총괄해서 부르는 명칭으로서, 바흐찐의 theory 은 철학·심리학·언어학·문학 등 다방면에 걸쳐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학문의 유파들 속으로 편입시키는 것을 불가능케하는 포괄성과 독창성을 지니고 있다 바흐찐 스스로 자기 theory 을 대화론이라고 명명한 적은 없으나, 80년대 구미에서 바흐찐 선풍이 일면서 몇몇 연구가들이 사용하기 처음 한 그 용어가 지금은 바흐찐 theory 의 변별적 체계를 지칭하는 관용어로 정착되어가는 추세이다.
대화주의라는 말 자체가 시사하듯이, 대화의 定義(정의) 은 바흐찐의 theory 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한다.